인터넷 전입신고 잘 풀리고 잘 되시길 응원합니다.
이사를 하게 되면 급선무가 뭐니 뭐니
해도 전입신고 일 거예요.
제 개인적인 생각은 주민센터 위치도
익힐 겸 해서 방문신고가 맞는다고 생각하지만
시간이 넉넉하지 못한 분들 분명히 계실 거예요.
이런저런 이유로 주민 센터 방문이 힘드시다면
인터넷 전입신고라는 편리한 제도가
있으니 아래에 나와 있는 글 한 번만 보시면
쉽게 따라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전입신고는 이사 후 14일 이내에 하셔야
과태료가 발생하지 않으니 이점 명심하시는 게
좋습니다.
물론 전입신고는 각종 서류 때문에 해야 하는 것도
맞지만 확정일자 등과 같이 내가 사는 집에 보증금에
대한 보호 조치의 최소한의 의무가 아닌가 싶네요.
네이버 검색창에 정부 24 사 검색 후에
홈페이지로 접속 후 로그인을 하셔야 합니다.
우선 준비물은 공인인증서입니다.
공인인증서는 각종 은행 업무와 각종 서류를
인터넷으로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없으시다면 이번 기회에 발급받아두시는 게
좋을 듯해요.
각, 기관을 선택하시면 해당 기관 정보 조회를
할 수 있으며 조회된 접수/처리 기관에 대한
실제 민원 접수/처리 가능 여부는 해당 기관에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화면 검색란에서 전입신고 검색하시면
민원 신청을 할 수 있는 창이 뜨고
여기서 신청하기 클릭해 주세요.
-안내사항은 그냥 가볍게 한 번씩 읽어봐
주세요.
아래에 동의 란에 동의를 체크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가 줍니다.
-첫 번째는 신청인 정보를 작성해야
하는데 여기서 본인 이름과 연락처를
입력해 줍니다.
이후 아래에 전입 사유를 선택해 넣으시면
됩니다.
사실 지금 이글 안 보셔도 그냥 하실 수 있는
정도의 쉬운 난이도입니다.
-두 번째 단계는 이사하기 전 주거하던 곳을
선택하시고 아래에는 이사 가는 사람을
항목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사 온 곳의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위에 사항이 약간 애매할 수 있을 겁니다.
만약 원룸으로 이사를 간다면 이사 온 사람끼리
세대 구성으로 했었는데 아래 항목은
본인이 이사 가는 곳에 세대주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본인 혼자 원룸으로 이사 가는 거라 세대주는
본인이 되며 위에 사항에 체크를 하시면 됩니다.
위에 기본 정보만 간단하게 기재하시면
됩니다.
각종 우편물을 받기 위해서 주소 이전도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아래에 해당이 되지 않는다면 표시를
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하시면 온라인 전입신고 마무리가
됩니다.
마무리를 하시면 위에처럼 민원 접수번호
신청내역을 볼 수 있어요.
막상 시작하면 몇 분 안에 끝나고
몇 시간만 지나면 신청 처리된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확실하게 검토를 원하시면 정부 24에서
주민등록표를 검색해 전입 신고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모든 걸 마무리하면 위와 같이 나오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생각보다 쉬워서 올리기 뭐 한 내용이긴 하나
모르는 분들은 길라잡이가 없으면
힘드니 올려봅니다.
정부 24에서는 각종 생활에 필요한 서류를
인터넷으로 발급받으실 수 있어요.
주민등록등본,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초, 중, 고등학교 졸업 증명서 생활기록부 등
발급받을 수 있는 게 무궁무진하답니다.
그렇기에 공인인증서가 없으시다면
이번 기회에 발급받으셔서 시간 절약
돈 절약하시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글 보시고 전입신고하시는 모든 분들
이사한 집에서 불꽃이 일어나듯이 잘 풀리고
잘 되시길 응원합니다.
댓글